
'한 달 벌어 한 달 쓰는' 수많은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은 어떤 게 있을까요? 1순위는 바로 입으로 들어가는 '식비', 2순위는 왔다 갔다 사용되는 '교통비'로 조사됐습니다.
수많은 직장인이 버스나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을 타고 출퇴근을 합니다. 모두가 편리하게 자차를 이용하면 좋겠지만 교통체증도 걱정될뿐더러 한번 오르면 떨어질 줄 모르는 기름값도 부담이 됩니다.
한 달 지출 비용 중 고정 비용으로 지출 퇴근 대중교통비는 대략 10여만 원 수준. 해마다 교통비가 조금씩 인상되기 때문에 부담도 점점 커집니다. 그렇다면 티끌 모아 태산! 매달 끊임없이 나가는 교통비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노하우를 알아봅니다.
01. 프로 대중교통로라면 '광역알뜰교통카드'
◆ 한 달에 15회~44회 대중교통 이용비 할인

프로 대중교통러라면 '광역알뜰교통카드' 사용은 필수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교통비를 할인해 주는 제도입니다.
마일리지 적립·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카드 발급과 어플리캐이션 설치가 필수 조건입니다. 1일 마일리지 적립 한도는 800m(240~450원)으로 하루 동안 이 거리 내에서는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걷거나, 자전거를 이용해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다만 한번 사용한다고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한 달 15회 이상 사용했을 때부터 교통비 할인을 해주고 있고, 한 달 최대 44회 이내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광역알뜰카드 시행 지역 어디?
아쉽게도 대한민국 전역에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2020년 7월 기준 국토교통부와 함께 알뜰 교통카드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지자체는 14개 시·도 108개 시·군·구 지역입니다.

서울특별시(5)
|
종로, 서초, 강남, 중구, 구로
|
부산광역시(16)
|
부산광역시 전역
|
대구광역시(8)
|
대구광역시 전역
|
대전광역시(5)
|
대전광역시 전역
|
인천광역시(10)
|
인천광역시 전역
|
울산광역시(5)
|
울산광역시 전역
|
세종특별자치시(1)
|
세종특별자치시 전역
|
경기도(31)
|
경기도 전역
|
충청북도(2)
|
청주, 옥천
|
충청남도(2)
|
천안, 아산
|
전라북도(5)
|
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
경상북도(3)
|
포항, 경주, 영주
|
경상남도(10)
|
창원,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양산, 통영, 고성
|
◆ 신용카드 or 체크카드로 손쉽게 발급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이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발급 가능합니다.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으며 일반 후불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처럼 지하철과 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홈페이지( https://alcard.kr )에 제시된 신한카드, KEB하나카드, 우리카드 등 3개의 카드사 중에서 선택한 후 신청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02. 매일 지하철 타는 사람은 '지하철 정기승차권'
◆ 44회 월 정액 요금으로 60회 타세요!

비 정기적으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직장인이라면 선사용 후 결재 방식의 '후불교통카드'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매일매일 지하철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충전 방식으로 사용하는 정기승차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4회분 월 정액 요금으로 지하철을 월 최대 60회까지 탈 수 있는 지하철 정기승차권(서울 전용 정기권 월 5만 5000원)은 충전 일로부터 30일 이내 사용 가능하며, 해당 기간이 지났다면 잔여 횟수가 남아있더라도 사용 불가합니다.
버스 환승에는 이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지하철만 이용해 출퇴근하는 직장인에게 꿀템입니다. 기본료 1250원 기준 월 44회 이상 이용하면 본전을 뽑고, 주말까지 꽉 채워 이용한다면 매달 16번ㅌ을 공짜로 이용하는 셈입니다.
03. 중·장거리 출퇴근러, 시외버스 정기권·정액권
◆ 시외버스 정기권, 정액권 차이는?

도시와 도시를 넘나들며 출퇴근하는 사람이라면 시외버스 정기권·정액권을 이용하면 교통비를 조금 줄여 볼 수 있습니다.
정기권은 거리가 100km 미만의 단거리 노선을 일정 기간 왕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특정 거리를 매일 통근 통학하는 직장인 및 대학생들에게 추천할만합니다.
정액권은 일정한 금액을 미리 지불하고 일정 기간(월~목, 월~금, 금~일 등) 동안 모든 노선의 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다양한 목적지를 자유롭게 선택해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으로 출장 다니거나, 국내여행을 계획하는 분들에 추천할만합니다.
04. 서울버스 이용객이라면 조조할인!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도 영화 볼 때처럼 '조조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매일 첫차부터 새벽 6시 반 사이 버스나 지하철에 승차하게 되면 기본 운임의 20%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조조할인의 경우 처음 탑승하는 교통수단에 한해 적용되며 환승할 경우에도 할인 혜택이 유지된다고 합니다. 해당 시간의 기본 환승 기준은 하차한 교통수단에서 태그 후 30분 이내입니다. 단 해당 혜택은 교통 카드를 이용할 때만 적용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05. KTX & SRT 할인 운임 이용!

기차도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코레일에서도 KTX 정기 승차권을 기본 운임의 45~60%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 가능합니다.
일반 정기권은 평일(월~금, 공휴일 제외)에 지정된 경로 내에서 지정된 등급 이하 열차를 이용 가능한 정기권으로 10일권 45%, 1개월 용 60%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 자유형은 주말까지 이용 가능한 정기권으로 10일~20일 45%, ~1개월 50%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N 카드는 횟수 차감형 정기권으로 이용횟수와 이용구간을 미리 선택해 구입한 후 사용 가능합니다.
하루 몇백 원이라고 생각하면 절약한 교통비가 얼마 안 되는 푼돈 같지만 막상 일 년을 모아보면 꽤 큰돈이 됩니다. 적은 돈부터 알뜰하게 챙기는 현명한 소비 습관을 가진다면 빠듯한 한달 월급을 조금이라도 더 여유롭게 사용 가능 할 것입니다.